조사소개
「해양보호구역 조사관찰」은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9조를 근거로 ‘11년부터 국내 해양생태계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해양생태계 법정조사 사업으로, 해양생태계 보호구역에 대한 해양생태계 현황 및 해양생물의 서식실태 등을 주기적으로 조사 및 관찰하여 효율적인 해양보호구역 관리정책수립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근거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9조
※해양보호구역에 대하여 해양생태계의 현황과 해양생물의 서식실태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함
사업목적
해양생태계 보호구역의 해양생태계 현황 및 해양생물의 서식실태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관리실효성 검증




조사현황
‘11년부터 기 지정된 해양생태계 보호구역에 대한 연1회 조사 수행
년도 | '11년 | '12년 | '13년 |
---|---|---|---|
조사권역 | 제주 문섬 주변해역 | 대이작도 주변해역 | 신두리사구 해역 |
추진체계

세부사업 내용
분과 | 세부분야 | 세부조사항목 | 조사지역 | |
---|---|---|---|---|
공통항목 | 저서생태 | 저서환경 | 입도, 유기탄소, 총질소, 탄산염, COD, 중금속 | 조하대 |
저서동물 | 다모류, 갑각류, 연체동물, 기타동물군, 생태지수 | 조하대, 갯벌 | ||
부유생태 | 부유환경Ⅰ | POC, COD, 중금속(Cu, Cd, Pb, Zn) | 조하대 | |
부유환경Ⅱ | 수온, 염분, 영양염, 용존산소, SS | |||
식물플랑크톤 | 엽록소, 종조성, 현존량, 생태지수 | |||
동물플랑크톤 | 요각류, 지각류, 모악류, 단각류, 난바다곤쟁이류, 생태지수 | |||
유영생물 | 어류, 두족류, 갑각류, 난자치어, 생태지수 | |||
중점항목 |
∙ 문섬 등 주변해역 : 암반생태계(산호 및 해조류 포함) ∙ 대이작도 주변해역 : 풀등의 퇴적양상 변동 ∙ 신두리 사구해역 : 해안사구의 퇴적양상 변동 ∙ 오륙도 및 주변해역 : 암반생태계(무척추동물 및 해조류) ∙ 가거도 주변해역 : 암반생태계(무척추동물 및 해조류) ∙ 소화도 주변해역 : 암반생태계(산호, 무척추동물, 해조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