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갯벌은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한 생태계로 세계5대 갯벌중의 하나이다

점차 넓어지면서 한국의 갯벌이 형성되었다.
갯벌은 지구상에 있는 어떤 생태계와도 비교할 수 없는 매우 독특한 생태환경이다.만조 때 바닷물에 잠기고 간조 때 육지처럼 드러나면서 바다 속 해저가 하루에 두 번씩 육지가 되는 세계적으로 흔치 않은 자연경관이다. 갯벌이 잘 발달하기 위해서는 첫째, 조수간만의 차(이하 조차)가 커야한다. 둘째, 얇은 바다에 평탄한 바닥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셋째, 강을 통해 바다로 퇴적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상의 조건이 가장 잘 갖추어진 한국의 갯벌은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한 생태계로 세계 5대 갯벌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한국갯벌의 형성과정과 특징은 매우 독특하다
한국의 갯벌은 약 5,000년 전부터 한반도에서 공급된 퇴적물과 해수면 상승, 조류와 파도 등의 물리적 요소와 리아스식 지형이 평형을 이루어온 결과이다. 평균 3~9m의 조차를 보이며, 평균수심은 55m(최대수심 약 90m)로 매우 평평하고 얕은 지형에 주변 내륙의 큰 강으로부터 많은 퇴적물을 공급받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경사도가 매우 완만하여 넓은 갯벌의 형성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이러한 형성역사로 볼 때 한국의 갯벌은 5,000년의 역사를 살아온 한국인의 숨결과 몸속에도 고스란히 스며들어가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전국갯벌현황
총괄
2018년 갯벌면적은 2,482.0㎢로 2013년 2,487.2㎢보다 5.2㎢ 감소
구분 | 2003년 | 2008년 | 2013년 | 2018년 |
---|---|---|---|---|
갯벌면적(㎢) | 2,550.2 | 2,489.4 | 2,487.2 | 2,482.0 |

지역별
서해안 지역에 전체 갯벌면적의 약 83.8%인 2,079.9㎢이 분포되어 있고, 나머지는 남해안에 분포
- (시·도별) 전남이 약 42.5%, 인천·경기 약 36.1%, 충남 약 13.7%, 전북 약 4.4%, 경남·부산이 약 3.3%로 나타남
-
[우리나라 전국 갯벌의 분포현황]
구분 면적(k㎡) 비율(%) 비고 합계 2,482.0 100.0 서해안 : 2,079.9㎢
남해안 : 402.1㎢인천 728.3 29.3 경기도 167.7 6.8 충청남도 338.9 13.7 전라북도 110.5 4.4 전라남도 1,053.7 42.5 경상남도 62.8 2.5 부산 20.1 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