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주요 유해해양생물 관리

  1. 해양생태&해양보호
  2. 법정관리 해양생물
  3. 유해해양생물
  4. 주요 유해해양생물 관리

유해해양생물 보름달물해파리 관리

정보 아이콘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은 보름달물해파리 피해 사전예방을 위하여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단계에 대한 제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거 전·후 해파리 및 부유생태계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해양생태계 개선 및 관리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업추진 법적 근거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4조(유해해양생물관리)
- (법 제24조) 수산업 피해 상황, 유해해양생물의 종류 및 개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해해양생물 관리

사업담당 부처 및 기관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

사업목적

  • 대량번식을 통해 해양생태계와 서식지를 교란하는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를 통해 수산업 피해를 저감하고 해양자산의 건강성 유지로를 통해 국민 경제 활성화에 기여
  • 해파리 관리에 따른 해양자산 건강성 증진을 통해 해양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해파리 부착유생(폴립) 제거의 효과성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모식도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폴립제거 전·후 모습

  • 제거 전
    제거 전
  • 제거 후
    제거 후

2024년 사업 추진 계획

전북, 전남 권역 해파리 폴립 대량서식지 제거

· 폴립 대량서식 해역(비응항, 야미도항 등 새만금 주변해역 6개소 및 목포항) 대상 폴립제거 실시
· 해파리 광역 탐색 모니터링에 의한 차기 폴립제거 후보지 발굴 및 폴립제거 효과성 검증
* 시화호, 마산만, 가막만, 완도, 해남, 강진, 전곡항, 목포항, 어란진항, 비봉마리나, 오천항, 잠두항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보름달물해파리 폴립 분포도

주요성과

해양수산부 해파리 폴립 탐색 및 제거

년도, 대상해역, 실적, 비고
년도 대상해역 실적
2013 시화호 (제거) 1억 6,000만 개체
마산만 (제거) 7,500만 개체
2014 마산만 (제거) 2억 3,000만 개체
새만금 (제거) 2,500만 개체
2015 새만금 (제거) 2억 2,000만 개체
가막만 (제거) 1,000만 개체
2016 새만금 (제거) 2억 5,000만 개체
가막만 (제거) 2억 9,000만 개체
여자만 (제거) 93만 개체
득량만 (제거) 3,800만 개체
포항 장길리항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504㎡)
2017 전남남부(해남, 완도,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가막만) (제거) 4억 400만 개체
전북 가력도항, 경남 서상항 (제거) 9,300만 개체
새만금, 득량만 (제거) 9,000만 개체
충남 당진항, 전북 비응항, 경남 장포항, 경남 가오치항 (제거) 1,000만 개체
전국 해파리 폴립 탐색 (탐색) 전국 30개 지역 441개 구조물,
(발굴) 161개 폴립 서식 구조물
2018 인천 송도LNG기지, 당진항, 평택항 (제거) 1억 4,000만 개체
전곡항 (시범제거) 2,000만 개체
2019 인천항(남항, 북항, 연안부두), 전곡항 (제거) 5억 4,000만 개체
평택항 서부두 (시범제거) 500만 개체
2020 인천항(관공선부두), 대산항, 전곡부잔교, 평택항서부두 (제거) 2억 9,600만 개체
2021 평택항, 전곡항, 천수만, 비응항, 도남항, 강구안, 북신만, 완도 (제거) 3억 8,000만 개체
2022 완도·통영 도서지역, 부산수영요트계류장, 포항요트계류장, 김녕항, 격포항, 가력도항, 궁항, 신시도항, 야미도항 (제거) 2억 9,900만 개체
2023 인천항, 새만금, 목포항, 득량만, 거제만 (제거) 5억 6,200만 개체

지방자치단체 해파리 폴립 탐색 및 제거

년도, 대상해역, 실적, 비고
년도 대상해역 실적
2014~2015 득량만 (제거) 2억 6,000만 개체
전남서부(함평만, 압해도, 목포시) (발굴) 폴립서식지 3개소(3,515㎡)
2015~2016 압해도, 목포신·구항 (제거) 1억 4,000만 개체
전남남부(완도, 해남, 강진만, 고금도, 조약도, 신지도) (발굴) 폴립서식지 6개소(1,898㎡)
2018 마산가포신항, 수정만 (발굴) 폴립서식지 2개소(3,245㎡)
(제거) 1,000만 개체
2019 장포항 (제거) 1,100만 개체
적량항 (발굴) 폴립서식지 1개소(7,779㎡)
진동만(광암항, 고현항) (제거) 1,500만 개체
원문만, 산양읍 (제거) 1,700만 개체
거제면, 동부면 (제거) 3,500만 개체
고성만, 자란만, 하이화력발전소, 당항만 (제거) 4,700만 개체
2020 적량항 (제거) 2,000만 개체
창선면, 삼동면 (발굴) 폴립 서식지 2개소(1,287㎡)
가포신항, 구산면 (제거) 1,400만 개체
광도면, 통영 유람선 터미널 (제거) 1,200만 개체
일운면, 장승포동 (제거) 7,300만 개체
득량만 (제거) 2억 개체
2021 둔덕면, 거제만, 일운면 (제거) 1,200만 개체
원전항, 마산항 (제거) 1,700만 개체
격포항, 가력도항 (제거) 3,400만 개체
2022 마산항 제2부두, 원전항 (제거) 1,700만 개체
격포항, 궁항 (제거) 5,600만 개체
2023(1차) 가포신항, 원전항 (제거) 1,200만 개체
격포항, 가력도항 (제거) 2,000만 개체
2023(2차) 새만금 (제거) 2,200만 개체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관리

사업추진 법적 근거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4조(유해해양생물관리)
- (법 제24조) 수산업 피해 상황, 유해해양생물의 종류 및 개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해해양생물 관리

사업담당 부처 및 기관

해양수산부, 인천시, 강화군, 해양환경공단

사업목적

  • 유해해양생물 갯끈풀 제거․관리를 통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보호 및 갯벌의 육지화 방지
  • 외래종 갯끈풀 번식지 확산을 방지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저감

갯끈풀 유입으로 인한 갯벌 생태계 변화

  • 국내 토종 염생식물 서식지 파괴
  • 갯벌 표층에 도달하는 햇빛의 투입량 감소로 인한 미세조류 생산력 저하
  • 저서생물의 먹이생물 및 갯끈풀 뿌리로 인한 서식지 감소 등
국내 갯벌에 분포하는 갯끈풀 피해 국내 갯벌에 분포하는 갯끈풀 피해
〈국내 갯벌에 분포하는 갯끈풀 피해〉

갯끈풀 특성

  • [과명] 다년생 벼과(Poaceae) 식물로 기수성의 다년생 초본
  • [원산지] 북미 대서양 연안 뉴펀들랜드, 캐나다 남쪽에서 아르헨티나 북부 갯벌 지역
  • [국외분포] 아시아, 태평양 연안, 유럽, 북아메리카
  • [국내분포] 강화도, 영종도, 신도, 장봉도, 대부도, 서천군, 김제시, 진도군

형태 및 생태적 특성

  • 다년생 초본, 만조와 간조사이에 지면이 드러나는 곳의 간만의 차가 큰 진흙에 분포
  • 잎은 두텁고 다소 넓은 긴 칼날 모양을 하며 끝은 뾰족함
  • 잎 폭은 0.6~1.5cm, 높이는 0.4~3m 정도까지 자라며, 서로 촘촘히 붙어 성장하며 군생함
  • 지하경을 길게 뻗고, 잔뿌리가 많아 복잡한 근계(complex root system)를 형성하여 무성번식으로 재생될 수 있음
강화 남단 갯벌에 침입한 갯끈풀(Spartina alterniflora) 군락
〈강화 남단 갯벌에 침입한 갯끈풀(Spartina spp.) 군락〉

갯끈풀 국내 분포도 및 식별방법

갯끈풀 국내 분포도
〈갯끈풀 국내 분포도〉
  • 갯끈풀

    갯끈풀

    - 지면 가까이부터 잎이 생장
    - 화서가 거의 없음
    - 근계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
    - 소~대형 원형군락 형성
    - 강한번식력
    - 길이 100~250cm

  • 갈대

    갈대

    - 지면에서 20cm 이상
    - 높이부터 잎이 성장
    - 화서가 크고 두꺼움
    - 길이 100 ~ 300cm

  • 지채

    지채

    - 개체길이가 짧음
    - 주로 소형군락
    (직경 50cm 이하) 형성
    - 길이 10 ~ 50cm

〈갯끈풀 식별방법〉

갯끈풀 제거방법

  • 물리적제거

    물리적 제거

    예초기, 낫, 중장비 이용

  • 화학적제거

    화학적 제거

    제초제 이용

  • 생물학적제거

    생물학적 제거

    멸구류 수액 및 곤충 이용

※ 국내에서는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해 물리적 제거방식에 국한하여 시행

  • 작업전

    갯끈풀 제거 작업 전

  • 작업중

    갯끈풀 제거 작업 중

  • 작업후

    갯끈풀 제거 작업 후

2024년 사업추진 계획

  • 강화도 갯끈풀 제거 및 처리
  • 갯끈풀 서식지 해양환경생태조사
  • 갯끈풀 서식지 모니터링 및 공간관리
  • 강화남단 갯벌 염생식물 분포현황 조사
  • 교육 및 홍보, 대외협력 등
담당담당
  • 담당부서: 해양환경공단 해양생태처
  • 담당자: 김선우
  • 전화번호: 051-400-7977
평점평점
의견의견
의견작성

전체메뉴

해양이용영향평가

해역이용영향평가 소개,
사업정보, 평가대행자
정보를 제공합니다.

해양환경 정보지도

다양한 해양환경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정보공간

해양환경과 관련된 자료실,
간행물, 법령정보,
용어정보 등을 제공합니다

알림공간

공지사항, 해양환경뉴스,
이달의 해양생물,
공모전, 정책제안 등
알림정보를 제공합니다.

포털 소개

해양환경정보포털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