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소개

  1. 해양폐기물
  2. 국가해안쓰레기
  3.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소개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정보 아이콘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이란?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은 해양수산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해양환경공단이 주관하는 해안쓰레기 기초조사 프로그램입니다.
우리나라 동,서,남해 연안 40곳(2018년~2020년), 60곳(2021년~)을 선정하여 2개월에 1번씩 정기적인 조사가 실시 되고 있습니다.
해양환경공단은 조사방법론 개발과 지도자 교육, 데이터 질관리와 종합분석을, 지역민간단체는 현장조사와 자원봉사자 교육을 담당합니다.
해안쓰레기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결과는 해양폐기물의 예방과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산출해 냅니다.

사업목적

  • 해양폐기물의 발생 및 이동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오염수준 및 발생원인을 파악하여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인접국가 간 해양폐기물 대응전략의
    주도적 참여계기 마련 및 민간단체 간 협력강화 도모

사업효과

해안쓰레기의 발생 원인별 비율변화
전국 및 지역별 해안쓰레기의 양과 종류파악
전국 및 지역별 외국기인 쓰레기의 양과 종류파악
해안쓰레기 양과 종류의 시간에 따른 증감 변화 추적
해양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환경정책과 환경교육에 활용

조사방법론

조사방법론
구분 내용
전국연안 60개의 조사대상 구간 - 동해안(12개소), 서해안(26개소), 남해안(22개소)
모니터링 조사대상 지역 선정조건 - 해변의 길이가 100미터 이상
- 모래해안, 잔자갈해안(굵은 자갈해안이나 암반해안의 경우, 2개월간의 모니터링 주기 동안 들고나는 이동에 제한을 받을 수 있음)
- 정화활동이 자주 이루어지지 않는 곳(인위적으로 쓰레기를 제거해 버리는 경우, 2개월간 떠밀려와 해변에 쌓이는 양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본 모니터링에 의한 정화작업만 시행되어야 함.)
- 모니터링을 마치고 주변 해변의 모든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는 곳
조사방법 1기 조사방법론 - 길이 100m 구간 전체 조사
- 12개 재질 100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조사
2기 조사방법론 - m단위의 20개 구간 중 랜덤 4개 구간을 선택하여 조사
- 7개 재질+원인(외국기인 제외) 50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조사

조사대상 지역

조사대상 지도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사업 민간단체('21, 매년 재선정)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사업
도별 조사대상지역 민간단체
인천광역시 - 인천 백령도
- 강화 여차리
- 인천 영종도
- 시흥 오이도(2021년 신규정점)
- 인천 영흥도
- (오션)
- 강화도시민연대
- 시흥환경운동연합
- 시흥환경운동연합
- 시흥환경운동연합
경기도 - 안산 말부흥
- 화성 궁평(2021년 신규정점)
- 시흥환경운동연합
- 시흥환경운동연합
충청남도 - 당진 왜목항(2021년 신규정점)
- 태안 백리포
- 태안 안면도
- 보령 삽시도(2021년 신규정점)
- 보령 석대도
- 서천 다사항
- 시흥환경운동연합
- 서산태안환경교육센터
- 서산태안환경교육센터
- 시흥환경교육센터
- (사)한국해양구조단 보령지역대
- (사)한국해양구조단 보령지역대
전라북도 - 군산 선유도(2021년 신규정점)
- 부안 변산
- 고창 동호
- 시흥환경교육센터
- (사)한국해양구조단 보령지역대
- 자연사랑메아리환경센터
전라남도 - 영광 백바위
- 신안 임자도
- 신안 고장
- 신안 압해도(2021년 신규정점)
- 신안 흑산도(2021년 신규정점)
- 신안 우이도(2021년 신규정점)
- 해남 예락
- 진도 가사도(2021년 신규정점)
- 진도 하조도
- 해남 송평
- 완도 보길도(2021년 신규정점)
- 해남 묵동리
- 완도 신지도
- 완도 평일도(2021년 신규정점)
- 고흥 신흥
- 여수 거문도(2021년 신규정점)
- 고흥 염포
- 여수 반월
- 여수 백야도
- 여수 안도(2021년 신규정점)
- 자연사랑메아리환경센터
- 자연사랑메아리환경센터
- 자연사랑메아리환경센터
- 자연사랑메아리환경센터
- 흑산도청년회
- 자연사랑메아리환경센터
- 자연사랑메아리 해남생태문화학교
- 자연사랑메아리 해남생태문화학교
- 목포환경운동연합
- 자연사랑메아리 해남생태문화학교
- 자연사랑메아리 해남생태문화학교
- 목포환경운동연합
- (사)한국해양구조단 완도지역대
- 전남장애인조정연맹
- (사)한국해양구조단 고흥지역대
- 어질현
- (사)한국해양구조단 고흥지역대
- (사)광양만권환경연구소
- (사)광양만권환경연구소
- 어질현
경상남도 - 남해 유구
- 사천 아두도
- 고성 송천(2021년 신규정점)
- 통영 욕지도(2021년 신규정점)
- 통영 망일봉
- 마산 봉암
- 거제 두모
- (사)한국해양구조단 진사지역대
- (사)한국해양구조단 진사지역대
- 사천생태환경교육연구회
- 사천생태환경교육연구회
- (오션)
-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
- (오션)
부산광역시 - 부산 가덕도(2021년 신규정점)
- 부산 해양대
- 부산 일광(2021년 신규정점)
- 해양환경교육센터
- 해양환경교육센터
- 드림오션네트워크
울산광역시 - 울주 나사리
- 울산 대왕암
- 울산 주전(2021년 신규정점)
- 드림오션네트워크
- 울산미래공생연구소
- 울산미래공생연구소
경상북도 - 포항 구룡포
- 포항 칠포
- 영덕 고래불
- 울진 후정
- 울릉 해양과학기술원(2021년 신규정점)
- 포항환경감시연합
- 포항환경감시연합
- 환경과사람
- 울진바다지킴이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강원도 - 동해 노봉
- 강릉 송정
- 속초 청초
- 환경지킴이운동본부
- 환경지킴이운동본부
- (사)한국해양구조단 속초지역대
제주도 - 제주 사계리
- 제주 김녕리
- 제주 위미(2021년 신규정점)
- 제주환경운동연합
- 바다쓰기
- 제주환경운동연합
합계(11 시·도) 60개 지역 29개 단체
담당담당
  • 담당부서: 해양환경공단 해양폐기물관리센터
  • 담당자: 김도현
  • 전화번호: 02-3498-8588
평점평점
의견의견
의견작성

전체메뉴

해역이용영향평가

해역이용영향평가 소개,
사업정보, 평가대행자
정보를 제공합니다.

해양환경 정보지도

다양한 해양환경 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정보공간

해양환경과 관련된 자료실,
간행물, 법령정보,
용어정보 등을 제공합니다

알림공간

공지사항, 해양환경뉴스,
이달의 해양생물,
공모전, 정책제안 등
알림정보를 제공합니다.

포털 소개

해양환경정보포털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