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소개

근거
- 「습지보전법」 제4조
- ※ 5년마다 습지의 생태계현황 및 오염현황과 습지주변영향지역의 토지이용실태 등 습지의 사회경제적 현황에 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여야 함
사업목적
- 연안습지의 환경 및 서식생물에 대한 과학적 기초자료 마련
- 과학적 근거를 통한 연안습지의 보전· 복원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자료 제공(습지보호지역 지정, 람사르 습지 등록 및 해역이용협의 등의 정책 결정에 활용)
- 연안습지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교육·홍보를 통한 습지보전의식 증진




조사현황
갯벌생태계 조사(1차 연안습지 기초조사) : ‘99년 ~ ’04년
「습지보전법」에 따라 전국 연안습지에 대한 기초조사 수행, 조사결과를 토대로 연안습지 보전 5개년 기초 계획 수립
년도 | '99년 | '00년 | '01년 | '02년 | '03년 | '04년 |
---|---|---|---|---|---|---|
일반조사 (기본조사) |
- | ① 전남서부 | ② 전남동부· 전북 |
③ 경남·충남 | ④ 경기·인천 | ⑤ 보완조사 |
중점조사 (정밀조사) |
함평만 | 압해, 중도, 도암만 |
순천만, 새만금 | 강진만, 가로림만 |
강화도, 탄도만 | 제주도 |
습지보호지역 지정내역 |
무안갯벌 | 진도갯벌 | 순천만 갯벌, 보성벌교갯벌, 웅진장봉도 |
2차 연안습지 기초조사 : ‘08년 ~ ’13년
「습지보전법」에 따라 전국 연안습지에 대한 기초조사 수행, 연안습지 생태계의 특성 및 변화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연안습지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 제공
년도 | '08년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
조사권역 | ① 전남서부 | ② 전남동부 | ③ 충남·전북 | ④ 경기·인천 | ⑤ 경상·제주 | ⑤ 보완조사 |
기본조사 (단위갯벌*) |
111개 | 133개 | 165개 | 148개 | 136개 | |
정밀조사 | 하의도 | 도암만 | 대천천 하구 | 무의도 | 강진만 | 종합평가 |
습지보호지역 모니터링 |
무안갯벌, 진도갯벌 |
순천만갯벌, 보성벌교갯벌 |
고창갯벌, 줄포만갯벌 |
옹진장봉도, 서천갯벌 |
중도갯벌 | 시흥갯벌, 마산만 봉암갯벌 |
긴급조사 | 사천 광포만, 마산 난포만, 태안갯벌 |
압해도, 시흥갯벌 |
마산만 봉암갯벌, 영광 백수 |
연평도, 강진 도암만 |
고이도, 선도, 매화도 |
|
습지보호지역 지정내역 |
서천갯벌 | 송도갯벌 | 중도갯벌 | 마산만 봉암갯벌 |
시흥갯벌 | |
람사르 습지 등록 | 무안갯벌 | 서천갯벌 | 고창갯벌 부안갯벌 |
중도갯벌 |
추진체계
- 해양수산부 자문위원회
- 해양환경공단
(총괄연구기관 )사무국 - 기본조사단
- 정밀조사단
- 습지보호지역
모니터링조사단 - 긴급조사
- 교육 및 홍보
< 연안습지 기초조사 조사사업단 체계도 >
2차 연안습지 기초조사 세부사업 내용
구분 | 대상 | 조사항목 | 비고 |
---|---|---|---|
정밀조사 (9개분야) |
생태적가치가 우수한 갯벌 |
자연환경, 수리환경, 퇴적환경, 갯벌건강성, 대형저서동물, 자원생물, 해조류, 염생식물, 물새조사 |
4계절 조사 |
기본조사 (5개분야) |
조사권역 갯벌의 전수조사 |
퇴적환경, 대형저서동물, 갯벌건강성, 사회경제현황, 갯벌의 경제적 가치평가, 갯벌생태등급도 |
연 1회(하계) |
습지보호지역 모니터링 |
습지보호지역 | 퇴적환경, 대형저서동물, 주민인식변화 지역별 특성에 맞게 항목추가 (물새, 염생식물) |
연 2회 (하계, 동계) |
긴급조사 | 개발 및 훼손 압력이 높은 연안습지 |
지역별 특성에 맞게 항목선정(퇴적환경, 대형저서동물, 갯벌건강성, 지형·지질 및 경관특이성, 멸종위기종 등) |
매립 추진지역, 오염 의심지역, 보호대상생물 서식지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