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방사성물질조사정보
- 홈홈
- 해양환경 관측&조사
- 해양환경정보
- 해양방사성물질조사정보
해양방사성물질 조사내용
해양방사성물질 조사목적
국내 연안해역의 방사성물질 분포 및 거동에 대한 주기적 감시(‘15~)를 통해 해양방사성물질로부터 해양환경 보호
* 방사능 조사 등 국내 원자력안전관리 총괄 :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방사성물질조사 세부 내용
- 조사범위 전국 주요 연안 해역
- 조사시기 정점별・항목별 연 최대 4회
- 분석항목 134Cs, 137Cs, 3H, 전베타, 239+240Pu
- 조사결과 국내 연안해역 방사성물질 농도의 해역별 특성이나 경향은 나타나지 않으며, 연·근해 방사성물질(원자력안전위원회 조사) 농도범위와 유사한 수준으로 조사
해수의 방사성물질 조사 결과
핵종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11년 이전 ** |
---|---|---|---|---|---|---|
137Cs(mBq/kg) | 1.03 ~ 2.15 | 1.08 ~ 3.63 | 〈 1.14 ~ 3.52 | 0.78 ~ 2.53 | 0.941 ~ 1.98 | 〈 1.19 ~ 4.04 |
3H(Bq/L) | 〈 1.39 ~ 〈 1.51 | 〈 1.26 ~ 〈 1.82 | 〈 1.15 ~ 〈 1.94 | 〈 1.21 ~ 〈 1.73 | 〈 1.27 ~ 〈 1.64 | 0.12~1.50 |
전베타(Bq/L) | 7.11 ~ 10.2 | 6.54 ~ 13.36 | 5.47 ~ 10.94 | 7.51 ~ 11.41 | 6.91 ~ 9.63 | 7.16 ~ 12.2 |
239+240Pu(µBq/kg) | 1.35 ~ 8.78 | 1.09 ~ 7.79 | 0.93 ~ 18.90 | 1.88 ~ 13.20 | 3.78 ~ 22.6 | 2.11 ~ 18.0 |
* 〈 : 최소검출가능농도(MDA), N/D : 불검출(Not Detected)
** 2011년 이전 조사 자료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조사 자료
*** 134Cs의 경우 전 조사정점에서 검출되지 않음
해수 방사성물질 분석과정
-
1. 해수 시료채취
해수 중 방사성물질 조사를 위한 현장 표층수 채취 과정
-
2. 해수 전처리
방사성물질의 저장용기 흡착 방지를 위한 해수 염산처리
-
3. 해수 전처리(공침)
해수 중에 존재하는 방사성세슘을 시약에 흡착하여 침전 시키는 과정
-
4. 해수 전처리(침전물 충진)
최종 침전물을 회수한 후 분석용기에 충진하는 과정
-
5. 해수 전처리(전처리가 끝난 최종시료)
방사능분석을 위해 전처리 완료된 시료의 모습
-
6. 시료계측
방사성세슘 방사능농도분석을 위해 분석장비에 전처리한 시료를 넣는 모습
* 검출기종료: 감마스펙트로미터
자료활용 통계 수집을 위하여 활용분야를 선택해주세요.
- 담당담당
-
- 담당부서: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질팀
- 담당자: 최민석
- 전화번호: 051-400-7937
- 평점평점
- 의견의견